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개별공시지가 조회 간단한 방법

daily life /daily life

by 친절한박팀장 2017. 6. 24. 19:29

본문

반응형

지난 달 말일 이었죠, 국토교통부가 17년 1월 1일 기준으로 개별공시지가를 산정해 5월 31일 공시하였는데요. 매년 국토교통부에서는 시,도마다 개별공시지가를 공시합니다. 개별공시지가는 실 거래시의 매매 가격과는 다소 차이를 보이니 매매시 참고용으로 받아 들이시면 되시겠습니다. 하지만 부동산의 가치를 평가하는데 있어서는 중요한 잣대가 되기도 하니 소유자 분들은 한번씩 체크해 두시는것이 좋겠습니다. 매년 두 차례 1월1일과 7월 1일 공시를 하게되는 개별공시지가 조회 방법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보도록 할게요. 

▶ 개별공시지가 : 표준지공시지가를 기준으로 하여 산정한 개별토지에 대한 단위면적당(원/㎡) 가격이다. 국토교통부장관이 매년 공시하는 표준지공시지가를 기준으로 하여 시장·군수·구청장 등이 조사하여 산정한 공시지가로, 토지의 특성조사와 표준지 선정여부로 결정한다.

▶ 2017년 개별공시지가 전국 평균

이미지 제공 : 국토교통부

올해는 전년 대비 5.34% 상승하여, 지난 해 5.08%에 비하여 0.26%p 올라, 2010년부터 꾸준히 상승 추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는 정부․공공기관의 지방이전에 따른 기반시설 확충 등 토지수요 증가와 일부 지역(제주, 부산 등)의 활발한 개발사업 등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됩니다.  

공시 대상은 총 3,268만 필지(표준지 50만 필지 포함)로, 이번 조사에서는 토지 분할 및 국․공유지 등을 추가로 조사하여 전년(3,230만필지) 대비약 38만 필지가 증가했습니다.

[출처] 2017년 개별공시지가 조회… 전국 평균 5.34% 상승|작성자 국토교통부


■ 2017년 개별공시지가 조회 간단한 방법

2017년 개별공시지가 조회

▼ 먼저 검색 사이트를 이용해 "2017년 개별공시지가 조회"라고 검색하시면 부동산공시가격알리미 사이트가 검색이 됩니다.  사이트에 접속하면 사이트 상단의 각종 공시가격과 공시지가를 볼 수 있는 메뉴들이 있는데요. 여기에서 우리가 오늘 알아볼 것은 "개별공시지가" 라서 개별공시지가를 클릭해 줍니다.  

2017년 개별공시지가 조회

▼ 일반적으로 실거래가의 60%~70% 정도로 공시지가가 결정이 된다고 합니다. 이것도 일반적인 사람들이 아는 정도 입니다. 실거래시에는 맞지 않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그냥 참고용으로만 이해하시면 될 거 같아요. 대략 개별공시지가에 3.3제곱미터 곱하게되면 그가격이 1평당 가격에 참고하시면 될거 같아요. 하지만 실제 시세랑 비교해보면 차이가 있습니다. 많이 나는 경우도 많구요. 일반적으로 실거래가보다 공시지가가 60%~70%의 차이를 보인다고 보시면 될거 같아요.  

개별공시지가를 클릭하시면 아래의 화면으로 변경이 되는데요. 여기서 보시고자하는 지역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저는 경기도를 선택해서 예시를 볼게요.

2017년 개별공시지가 조회

▼알아보고 싶은 지역의 도, 시, 동, 지번을 입력하고 검색을 하게되면 각 년도 별로 개별공시지가를 기준 일자와 공시일자를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와 저긴 모 사이트 주소인지인데 공시지가가 800만원이 넘는군요, 제가 소유한 곳의 개별공시지가는 이제 겨우 70만원 이던데;;; 차이가 상당하네요.  

2017년 개별공시지가 조회

이번 개별공시지가는 www.realtyprice.kr 사이트를 통해서 열람이 가능하며 알고 싶은 지역의 토지소재지 관할 시․군․구 민원실을 통해서도 열람이 가능하며 이의신청 기간은 "5월 31일 부터 6월 29일 까지 할 수 있다고 합니다. 이제 몇일 남지 않았네요. 혹시 이의신청을 하지 못 하신 분들은 남은 기간동안 꼭 하세요. 전 그다지 이의신청을 하고 싶은 생각이 없어 그냥 눠뒀어요.

이의신청은 6월 29일까지 공시 된 금액에 대해서 이의를 제기하고 싶으신 생각 있으신 분들은 이의신청서를 시․군․구를 방문해 이의신청서를 제출하시면 된다고 합니다. 오늘은 간단하게 개별공시지가 알아보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