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728x90
예전에 크롬을 사용하다 보면 마음에 들었던 기능 중 하나가 바로 탭 별 소리를 끌 수 있는 "음소거 기능"이 아닐까 싶어요. 근데 어느 순간부터 아래와 같이 탭에서 우 클릭을 해도 "사이트 음소거" 기능이 사라져 버렸더군요. 아쉬웠어요.하지만 편리한 기능들이 사라지면 크롬의 확장 프로그램으로 누군가는 만들어 등록을 시켜 주더군요. 구글 크롬 탭 별 사이트 음소거 방법, 소리 끄기 기능 또한 확장 프로그램이 등록되어 있었습니다. 그럼 크롬의 탭 마다 예전처럼 사이트 음소거를 할 수 있는 확장 프로그램 "Tab Muter"에 대해 함께 알아 보도록 해요. ▼ 구글 크롬 탭 별 음소거 방법, 소리 끄기 기능 추가 방법은 확장 프로그램 추가를 통해 가능한데요. https://chrome.google.com/we..
요즘은 데스크탑을 구매하든 노트북을 구매하든 거의 대부분의 컴퓨터 사용자들이 스스로 윈도우를 설치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윈도우10 설치는 간단합니다. 간단한데 설치 후 드라이버를 설치하고 제대로 설치가 되었는지 보려면 가장 먼저 보게 되는 것이 바로 "장치 관리자" 입니다. ▼ 그래서 오늘은 간단한 활용 팁으로 윈도우10 장치 관리자를 찾는 4가지 방법에 대해서 함께 알아 보려 합니다. 먼저 첫 번째 방법은 아마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법일 것 같아요. 우선 바탕 화면에 "내PC" 아이콘이 있다는 전제 하에 "내PC"위에 마우스 포인트를 가져가 우 클릭 하신 후 "속성을 클릭하세요. ▼ 그럼 아래와 같이 시스템 창이 나타나게 됩니다. 여기서 좌측을 보면 "장치 관리자" 있습니다. 클릭하시면 우측 처럼 장치..
윈도우10 1903 버전으로 업데이트해 사용해 온 것도 제법 시간이 흘렀네요. 언제나 그렇듯이 업데이트 후 자잘한 버그들은 이후 빌드 업으로 어느 정도는 해결이 된 듯 합니다. 오늘 1903 버전 업데이트 후 다운로드 폴더를 보면 예전과 다르게 파일이나 폴더들을 수정한 날짜 순으로 정리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게 저는 꽤 편하더군요. 언제 무슨 파일이나 작업을 했는지 다운로드 받았는지 알 수 있어 전 그대로 그냥 사용 중입니다. 하지만 사람이란게 익숙한 것을 잘 버리지 못하듯 예전 방식으로 사용하길 원하는 분들도 있더군요. 그래서 간단히 예전처럼 보는 방법을 알려 드리려 합니다. ▼ 아래는 1903 버전업 이후 다운로드 폴더 창의 모습입니다. 보시는 것과 같이 오늘 이번달 초, 지난달, 이런 ..
더위가 이제 한 풀 꺽이려 하는 것 같아요. 조금씩 체감온도가 내려가는 것 같은 느낌이네요. 하지만 일교차가 심하니 몸 관리들 잘 하시구요. 그리고 이번 글에서는 윈도우10 Insider Preview 빌드업에 관한 이야기를 하려 합니다. 지난 18898빌드 업데이트에서 작업 관리자의 탭 중에서 저장 장치 즉, 하드디스크의 타입 표시에 관한 업데이트가 있었는데요. ▼조금의 관심이 있는 분들이라면 디스크의 이름을 보면 쉽게 알 수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분들은 어느 것이 HDD인지 SSD인지 모를 수도 있거든요. 특히 하드디스크들이 많은 분들은 더 유용한 업데이트 일거라 생각이 되어지네요. ▼ 그리고 지난 8월 16일 오늘 Microsoft는 윈도우10 Insider Preview Build 18963 (2..
오늘은 친구가 갤럭시 지포스 RTX2060 WHITE D EX D6 6GB 제품으로 그래픽카드 업그레이드 후 장치 관리자에 "USB XHCI 규격 호스트 컨트롤러"라고 느낌표가 사라지지 않는다고 해서 겸사겸사 이런 상황에 난감에 하시는 분들이 있을 것 같아 올려 둡니다. 아마 GTX1660 ti도 예전에 모델은 생각이 나지 않는데 똑같은 증상이 생겨서 혼자 미쳐 버리는줄 알았던 기억이 있네요. 그때도 VGA BIOS 업데이트로 해결했던 기억이 납니다. 이번 친구가 업그레이드한 갤럭시 제품도 공식 홈페이지에 친절하게도 이 증상을 해결 할 수 있는 바이오스가 올려져 있어 다행이었어요.자 그럼 RTX2060 그래픽 드라이버 설치 후에도 사라지지 않는 "USB XHCI 규격 호스트 컨트롤러" 느낌표를 장치 관리..
정말 날씨가 미치게 더운 것 같아요. 모두 더위에 몸 관리 잘 하세요. 그리고 엄청 오랜만에 글을 쓰는 것 같네요. 지난 한 달 동안은 길냥이가 출산을 해 아기 고양이들을 케어하는 바람에 블로그에 신경을 못 썼네요. 다음에 길냥이 관련 포스팅도 올려 둘게요. 오늘 글은 특별한 것이 아니라 윈도우를 직접 설치하는 분들이 아직 많이 물어 보시는 것 중 하나 입니다. 바로 "윈도우10 사용자 계정 컨트롤 간단하게 끄는 방법"에 대한 글이에요. 윈도우 설치 후 드라이버를 잡거나 응용프로그램들을 설치 하려고 하면 아래와 같이 사용자 계정 컨트롤 창이 매번 뜨는 것을 보셨을 거에요. 매번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 할 때마다 아래와 같이 사용자 계정 컨트롤 창이 뜨게 된다면 성격이 급한 분들은 짜증이 날 법도 합니다. ..
이제 곧 라이젠 젠2 3000 시리즈 cpu가 출기가 되는데요. 그래서 기존 "라이젠 서밋 릿지와 피나클릿지, 레이븐릿지"등을 사용 중인데 젠2 3000 시리즈의 cpu 업그레이드를 생각 중인 초보 분들을 위해 젠2가 인식이 가능한 바이오스 업데이트 방법에 대해 간단하게 올려 두려고 합니다. 그 중에서도 가장 보편적인 기가바이트의 a320m-s2h 마더 보드를 이용해 글을 작성 하려고 해요. 다른 제조사들도 비슷하니 참고하셔서 하시면 될 듯합니다. 다만 난 업그레이드 생각이 없다 지금도 아무 문제 없이 사용 중이다 하시는 분들은 굳이 업데이트를 안 하셔도 됩니다. ▼ 먼저 usb를 준비해야겠죠. 쓰던 것 있으면 사용하시면 됩니다. 다만 파일 시스템 형식 즉, usb 포맷 형식이 FAT32 방식이어야 원활..
오늘 함께 알아볼 윈도우10 활용 팁은 다름 아닌 "작업표시줄"을 완전히 투명하고 맑게 만들는 방법을 함께 알아 보려 합니다. 오늘은 설정을 통한 방법인 아닌 "TranslucentTB"라는 마이크로스프트의 무료 앱 설치를 통한 방법입니다. 설치는 눈 깜짝할 사이에 완료가 되네요. 요즘 같이 화면이 큰 와이드 모니터를 많이 사용하는 분들에겐 좀 더 예쁘고 멋진 화면을 구성 할 수 있지 않을까 싶네요.▼ 기존의 "설정>개인 설정>색"에 투명 효과 켜고 끌 수 있는 방법이 있긴 했는데 제가 원하는 완전한 투명은 아니었거든요. 오늘 소개해드리는 "TranslucentTB"는 바탕 화면에서는 완벽한 투명 작업표시줄을 만나볼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여러가지 설정으로 자기가 원하는 효과나 색상 등을 설정 할 수도 ..
이번 글에서는 최근 자동 업데이트로 배포 되기 시작한 Windows10 2019년 5월 Update 1903 버전의 수동 업데이트 방법과 그에 따라 윈도우10 RS5 1903 업데이트 후부터 가능해진 "파일탐색기"를 어둡게 만드는 방법까지 함께 알아 보려 합니다. 파일탬색기 색을 어두운 색 계열로 변경이 적용 되는 것은 제가 알기로는 RS5 1809부터 적용이 되는 것으로 알고 있어요. RS4 1803 적용을 시켜도 변경이 안되는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RS4 이전에는 윈도우 기본앱을 어두운 계열로 설정은 가능 했지만 유독 "파일탐색기"만은 적용이 되지 않았거든요. ▼ 최근 RS5 1903 업데이트도 하기도 했고 해서 천천히 읽어 보시고 저와 함께 밤에 업무 볼 때 눈뽕을 주던 "파일탐색기"를 어둡게 변..
안녕하세요. 오늘은 오랜만에 인스타그램 관련 글을 올릴까 해요. 무슨 내용이냐면 요즘 인스타그램을 보다 보면 여러 장의 사진을 한번에 올리는 게시물들이 많은데요. 특히 인스타그램의 둘러보다 마음에 들어 개인 소장하고 싶은 사진을 발견 했을 때 한장씩 다운로드 하기란 정말 귀찮거든요. 이럴 때 PC에서 제가 주로 사용하는 방법인데 이 방법은 마음에 드는 사진이나 동영상이 여러 장 등록 된 게시물을 한번에 추출해 다운로드 하고자 할 때 쉽고 간편하게 웹사이트를 통해 다운로드 할 수 있는 방법을 간단하게 공유 할까 합니다. 참고로 이 사이트는 광고가 없어 편했습니다. 요즘은 앱이나 크롬의 확장프로그램들도 많지만 전 이게 편하더군요. PC 배경 화면 구할 때도 멋진 사진을 찾아 개인 소장해 사용하고는 한답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중고컴퓨터 구매 시 윈도우가 설치 된 컴퓨터를 구매 했을 때 윈도우 설치 날짜를 간단하게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볼 거에요. 이 방법은 윈도우가 깔려져 오는 중고 컴퓨터 혹은 자신이 사용 중이던 컴퓨터의 윈도우 설치를 언제 했는지 알고 싶을 때 간단하게 사용하시면 될 듯합니다. 방법은 아주 간단한데요. 바로 우리가 cmd 라고 가끔 사용하게 되는 명령프롬프트를 앱을 사용해 확인이 가능합니다. 오늘은 요즘 주로 사용하는 윈도우10을 사용할 거에요. 하지만 이하 운영체제 버전에서도 동일하니 참고하시면 되시겠어요. ▼ 먼저 "cmd" 명령어로 열 수 있는 명령 프롬프트를 찾아야겠죠. 아래 처럼 돋보기 모양의 검색 아이콘을 눌러 "cmd"라고 검색하셔도 되고 돋보기 아이콘이 없다면 "윈도우..